clock1
clock

전북지속발전협의회, 인구소멸 대응 지역 거버넌스 협력 토론회 개최

“정주인구에서 생활인구 중심으로 정책 전환 필요”

전북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회위원회는 11월 6일 전주교육대학교 황학당 세미나실에서 ‘인구소멸 대응 지역 거버넌스 협력 토론회’를 열고 전북의 인구감소 문제와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이번 토론회는 ‘인구소멸 시대, 전북의 지속 가능한 방향’을 주제로 진행됐으며, 정성훈 강원대학교 교수와 김동영 전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발제자로 참여했다. 두 발제는 각각 지역 맞춤형 인구정책과 거버넌스 해법, 전북의 인구감소 구조와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1시간 이상 심층적으로 진행됐다.

발제에서는 인구정책의 패러다임을 기존의 ‘정주인구 중심’에서 ‘생활인구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됐다. 단순 주소 이전 인구 확대가 아니라 전북을 방문하고, 머물고, 지역을 경험하며 재방문하는 생활인구를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특히 생활인구는 단기 방문보다 일정 기간 지역에 머물며 관계를 형성하는 체류형 인구가 지역성장에 더 의미가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또한 청년층이 지역에 정착하지 않는 이유가 일자리, 주거, 교통, 문화, 관계망, 성장기회 등 복합적 구조와 연결되어 있다는 진단도 제기됐다. 청년의 선택을 받는 지역은 단일 정책이 아니라 균형 잡힌 생활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됐다.

종합토론은 이경한 전주교육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인구·복지·교육·지역개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정책 현실성과 실행 전략을 논의했다.

전북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회위원회는 “전북이 지속 가능한 지역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청년이 머무는 생태계 조성과 다양한 생활인구가 활발하게 움직이는 지역 구조가 필요하다”며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실효성 있는 인구정책 논의가 더욱 확산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