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ck1
clock
아동복지기관의 대안을 제시합니다.
  • 일반

‘진실’

** 진실 **

진실
박노해


큰 사람이 되고자 까치발 서지 않았지
키 큰 나무숲을 걷다 보니 내 키가 커졌지

행복을 찾아서 길을 걷지 않았지
옳은 길을 걷다 보니 행복이 깃들었지

사랑을 구하려고 두리번거리지 않았지
사랑으로 살다 보니 사랑이 찾아왔지

좋은 시를 쓰려고 고뇌하지 않았지
시대를 고뇌하다 보니 ​시가 울려왔지

가슴 뛰는 삶을 찾아 헤매지 않았지
가슴 아픈 이들과 함께하니 가슴이 떨려왔지

– 살아가는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다는 것을 시인은 말해 줍니다.
그중 하나는 ‘이루어보겠다’, ‘얻겠다’는 마음에서 나타나는 방식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방식을 선택하고 있어 우리들에게 익숙합니다.
스스로 까치발을 서고 자신이 큰 사람이라고 말하는 방식입니다.
행복도 목표로 정하고 길을 갑니다.
사랑을 찾는다는 명분으로 이 사람 저 사람을 쫓아다닙니다.
고뇌를 통해 좋은 시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갈급하는 마음을 채우고자 가슴 뛰는 일을 따라다닙니다.
자기를 드러내는 방법입니다.
지식으로 알게 하는 방식입니다.
삶의 흔적과 방향이 아닌 말로 가르치는 생활 방식입니다.

또 다른 방식이 있습니다.
살다 보니 이루어졌다고 말하는 방식입니다.
키 큰 나무숲을 걷다 보니 스스로 커져 있음을 알게 되는 방식
옳은 길을 걷는 시간들이 행복한 시간이라는 것을 알게 되는 방식
사랑으로 살다 보니 내 곁에 사랑이 이미 와있음을 깨닫는 방식
함께 아파하니 ​시가 울려 나오고 사람들이 기억하는 방식
이웃과 함께하는 동안 늘 가슴이 떨려 삶의 의욕을 놓지 않는 방식
이 방식으로 살았더니 여기까지 오게 되었다고 고백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살아가며 보여줍니다.
말 대신 삶으로 나타나는 방식입니다.
살아온 삶의 흔적과 방향을 통해 드러나는 방식입니다.

가르쳐야 할까요?
드러나야 할까요?
이를 선택하는 것은 우리의 몫입니다.

칼럼리스트 이승정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