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ck1
clock

지역아동센터 5주기 평가 대비 긴급 상황 대응 절차 강화 필요성 대두

최근 지역아동센터 현장은 5주기 평가지표에 따른 평가를 받고 있다. 평가는 3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는데,  5주기 평가지표에 지역아동센터 안전관리에 대한 준비와 대응을 평가하게 되어 있다.

일부 평가위원은 지역아동센터에서 긴급상황 발생 시 대응 절차의 숙지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평가 과정에서 역할은 비교적 명확하게 설정되었으나, 절차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실질적인 대응이 원활하지 않을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평가위원들은 긴급상황 대응 절차를 “명확하게 숙지하고 실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특히,  “지역아동센터의 경우 아동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므로, 평가를 위한 문답보다 실제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을 하였다. 이에 따라, 대응 절차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긴급상황 대응 절차

  1. 초기 상황 파악 및 신고 긴급상황 발생 시, 즉시 상황을 파악하고 관련 기관(119, 112 , 관련지자체 등)에 신고한다.
  2. 지역아동센터 내 대응팀(자위소방대 및 응급구조반)을 구성하여 초기 대응을  신속하게 수행한다.
  3. 아동 보호 및 대피 아동을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키고, 보호 조치를 취한다.
  4. 사후 조치 및 보고 긴급상황 종료 후, 피해 상황을 집계하고 복구 작업을 진행한다. 또한, 관련 기관에 보고하여 추가 지원을 요청한다.

지역아동센터의 긴급상황 대응 절차는 단순한 지침이 아니라, 실제 위기 상황에서 아동의 생명을 보호하는 핵심적인 요소다. 그러나 최근 평가 과정에서 절차 숙지가 미흡하다는 점이 드러나면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평가위원들은 “절차를 숙지하지 못하면 긴급 상황에서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며,  정기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지역아동센터는 대응 매뉴얼을 철저히 숙지하고 실습을 통해 대응 능력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최근 발표된 아동,영유아 복지시설 재난안전 관리 메뉴얼에 따르면, 시설 내 안전관리 책임자와 종사자의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고, 재난 유형 별 대응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이에 따라, 지역아동센터는 대응 절차를 보다 체계적으로 정비하고, 실질적인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위로 스크롤